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KBO 리그 구조와 포스트시즌 제도 완전 정리 (2025 최신)

by Juli_AN 2025. 7. 18.

야구 경기하는 모습

프로야구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 중 하나입니다. 그중에서도 KBO 리그는 40년이 넘는 전통을 가진 프로 리그로, 매년 수많은 명경기와 감동적인 드라마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입문한 야구 팬에게는 KBO 리그의 구조나 포스트시즌 방식이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정규시즌은 언제 끝나는지, 와일드카드는 어떤 팀이 진출하는지, 한국시리즈는 어떻게 열리는지 등 기본적인 개념을 한 번에 정리하고 싶다면 이 글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KBO 리그란 무엇인가?

KBO 리그는 1982년에 출범한 대한민국의 프로야구 리그입니다. 초기에는 6개 구단으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총 10개 구단이 참가하고 있으며, 전국에 걸쳐 홈구장을 두고 팬들과 함께 호흡하고 있습니다.

  • 리그 운영: 정규시즌 → 포스트시즌 → 한국시리즈
  • 시즌 기간: 3월 말 ~ 10월 초 (정규시즌), 10월 중순~11월 초 (포스트시즌)
  • 구단 수: 총 10팀

각 구단은 144경기를 치르며, 순위에 따라 가을야구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

2. 2025년 KBO 참가 구단

2025년 기준으로 활동 중인 구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 두산 베어스 (서울)
  • LG 트윈스 (서울)
  • 키움 히어로즈 (서울 고척)
  • SSG 랜더스 (인천)
  • 한화 이글스 (대전)
  • 롯데 자이언츠 (부산)
  • 삼성 라이온즈 (대구)
  • NC 다이노스 (창원)
  • KT 위즈 (수원)
  • KIA 타이거즈 (광주)

각 구단은 고유한 역사와 응원 문화, 스타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어 팬층이 뚜렷합니다.

3. 정규시즌 운영 방식

정규시즌은 KBO 리그의 기본 뼈대를 구성하는 시기입니다. 총 144경기(홈 72, 원정 72)를 각 팀이 치르며, 모든 팀은 서로 18경기씩 맞붙습니다.

경기 수 및 대진 방식

  • 팀당 144경기
  • 9개 팀과 각각 18경기씩 (3연전 단위)

정규시즌 순위는 승률에 따라 결정되며, 동률인 경우 다음 순서로 우열을 가립니다:

  1. 팀 간 상대 전적
  2. 팀 득실차
  3. 팀 평균자책점
  4. 필요 시 타이브레이커 경기 진행

승률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승률 = 승 / (승 + 패)

무승부는 승률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월별 시즌 흐름

  • 3~4월: 시즌 개막, 로테이션 안정화
  • 5~6월: 중위권 경쟁 심화
  • 7~8월: 올스타 브레이크 및 후반기 시작
  • 9~10월: 순위 싸움 및 가을야구 윤곽

4. 포스트시즌이란?

포스트시즌은 정규시즌 상위권 팀만이 진출하는 일종의 ‘결선 토너먼트’입니다. 많은 팬들이 “가을야구”라고 부르는 이 시기는 KBO 리그의 하이라이트라 할 수 있으며, 극적인 역전승과 명승부가 자주 탄생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2025년 기준, 정규시즌 상위 5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합니다.

각 단계별 설명

  1. 와일드카드 결정전: 4위 vs 5위
    • 4위 팀에 1승 어드밴티지
    • 5위는 2승해야 다음 라운드 진출
  2. 준플레이오프: 와일드카드 승자 vs 정규 3위 (3전 2선승)
  3. 플레이오프: 준PO 승자 vs 정규 2위 (5전 3선승)
  4. 한국시리즈: PO 승자 vs 정규 1위 (7전 4선승)

5. 예시로 보는 포스트시즌 시나리오

가상의 시즌 결과를 기반으로 포스트시즌 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순위 구단 진출 단계
1위 LG 트윈스 한국시리즈 직행
2위 SSG 랜더스 플레이오프
3위 NC 다이노스 준플레이오프
4위 롯데 자이언츠 와일드카드 시리즈 (1승 어드밴티지)
5위 한화 이글스 와일드카드 시리즈

6. 홈경기 우선권과 순위의 관계

상위권일수록 홈경기 횟수가 많아지며, 팬들의 응원과 익숙한 환경이 큰 도움이 됩니다.

  • 1위 팀은 한국시리즈 직행 + 4경기 홈 개최
  • 2위 팀은 플레이오프 직행 + 홈 우선권
  • 4위 팀은 와일드카드 1승 자동 부여

7. KBO vs MLB: 포스트시즌 구조 비교

미국 MLB는 아메리칸리그(AL)와 내셔널리그(NL)로 나뉘며 각 리그마다 와일드카드, 디비전시리즈, 챔피언십시리즈, 월드시리즈로 구성됩니다.

KBO는 단일 리그이므로 순위 자체가 곧 포스트시즌 시드가 됩니다. 진출 팀 수도 5팀으로 상대적으로 간단하지만, 단기전 특유의 긴장감은 MLB 못지않습니다.

8. ‘가을야구’가 팬들에게 주는 의미

포스트시즌은 단순히 우승을 향한 여정이 아닙니다. 한 시즌 동안 쌓아온 팀의 노력, 선수의 커리어, 팬의 응원이 모두 압축되어 폭발하는 시기입니다.

무명 선수가 영웅이 되기도 하고, 정규시즌 강자가 일찍 탈락하기도 하는 야구 특유의 ‘예측 불가능성’이 가장 극대화되는 시간입니다.

 

KBO 리그의 구조를 이해하면 야구를 더 깊고 전략적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정규시즌과 포스트시즌은 각각의 재미가 있으며, 구조를 파악하면 중계나 기사에서 말하는 표현들의 의미가 명확해집니다.

이제는 단순히 응원하는 팀이 이겼는지 졌는지를 넘어, “이 팀은 몇 위여서 어떤 구조로 올라가는구나”라는 구조적 흐름까지 파악하는 팬이 되어보세요.